안녕하세요. 큐시커입니다. 제가 인터뷰 한 내용들을 알차게 즐기고 계시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총 4명의 인물 인터뷰 글을 작성했습니다. 블로그를 시작한지 2개월 정도 되었는데 이정도면 꽤 좋은 출발인것 같아요 :) 인터뷰 질문 응답을 변역하는 과정에서 제가 챗 GPT를 활용하고 계시는 점, 모두들 아시리라 믿습니다. 제가 공부를 하면서 영어 논문을 작성할 때 마다 저랑 함께 작문 피드백을 해주고 수정해주시는 전문가와 함께 했었습니다. 영어를 잘 못했던 유학생 시절에 대학교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저에게 큰 도움이 되었기에 챗 지피티가 이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접근한 방법입니다. 챗 지피티가 저랑 함께 번역 작업을 하는 파트너가 되주고 있고, 저도 인터뷰를 지금까지 4건 작업하면서 얻은 작업방식과 데이터를 프롬프트로 저장해 커스텀GPT를 꾸준히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보시는 것 처럼 제가 만든 번역용 커스텀 GPT입니다. 대화하듯 언어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IIL 인공지능이 앞으로 가능성이 많을거라 생각되어 오픈AI 사의 챗 GPT를 번역용 인공지능으로 선택했습니다. 제가 만든 커스텀 GPT가 기본형 GPT랑 어떤 점이 다른지 비교해보겠습니다. 블로그의 목적과 함께 내가 지피티에게 요청하는 것, 의도, 원하는 점을 설명해줬더니 곧바로 영문으로 작성해줬습니다. 영작에 집중해서 보시죠! 이제, 제가 만든 커스텀 GPT 에도 똑같은 질문을 복사 붙여넣기 해 넣었습니다. 제가 커스텀한 GPT는 영문 뿐만 아니라 한국어도 고려해서 두가지 언어를 신경썼습니다. 두가지 언어를 동시에 생각해서 한국어로 우선 글을 써주고 영어 문맥에 맞춰 영문 번역도 제안해줬습니다. 영문을 보면 어감이나 사용된 용어도 차이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어떤게 훨씬 더 자연스럽나요? 이번에는 제가 블로그 포스팅 안에 쓴 글을 복사해서 붙여넣어 챗GPT에게 명령어를 적어넣었습니다. 이것도 글쓴이가 원하는 방향을 잘 정리해서 번역 작업하고, 어떤점을 자연스럽게 고쳤는지 ...
Interview with veteran educator in special education field, Myung-sook Song - 모두를 위한 통합교육을 그리다 저자 송명숙 선생님을 통해 장애인을 바라보는 시각을 얻다
송명숙 선생님은 어떤 사람입니까? 통합교육은 장애학생뿐만 아니라 비장애학생에게도 아주 중요한 교육이라고 믿으며 25년동안 일반학교에서 통합교육을 위해 노력했던 특수교사였습니다. 현재는 이화여자대학교와 경인교육대학교에서 예비특수교사와 일반교사들에게 특수교육에 대하여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선생님께서 특수교사로 25여년 근무하셨다고 들었는데 언제부터 특수교육을 접하셨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초등학교를 다닐 때(1970년대 말) 저희 오빠가 청각장애인을 위한 특수학교에서 교사로 있었어요. 그때부터 자연스럽게 특수교육을 알게 되었어요. 물론 제가 초, 중, 고등학교를 다니는 동안 제가 다니는 학교에는 장애학생이 전혀 없었어요. 그때는 장애학생들은 대부분 특수학교에 다녔기 때문일 거예요. 그렇지만 대학 진학을 생각할 때 특수교사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어, 1990년에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과를 입학하게 되었습니다. 선생님의 특수교육 경험은 어디에서 쌓으셨나요? 그리고 현재 특수교육 통합교육을 교육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학군/학교는 많은 편인지 궁금합니다. 저는 1996년부터 중앙기독초등학교에서 통합교육을 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특수학급이 처음 생긴 것은 1972년이며, 그 이후부터 통합교육이 시작되었고, 법에 통합교육이 명시된 것은 1994년입니다. 법적으로 보장된 통합교육이 30년째인 2024년 기준, 특수교육대상자의 73.7%가 통합교육을 받고 있어서 우리나라의 통합교육은 매우 보편화된 상황입니다. 그러므로 특수교육대상자가 특수학교에 다니는 것이 아니라 일반학교에 다니는 경우가 훨씬 더 많습니다. 그렇지만 모든 학교에 특수학급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자신의 집에서 최대한 가까운 거리의 학교를 알아보면 됩니다. 그러니까 통합교육을 교육현장에 적용하고 있는 학교는 매우 많으며, 특별한 것이 아니라 당연한 것입니다. 단, 양질의 교육이 제공되어야하는 문제점이 남아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