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똑똑한 번역 업무 특화] 커스텀 챗GPT 프롬프트 공개

 안녕하세요. 큐시커입니다. 제가 인터뷰 한 내용들을 알차게 즐기고 계시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총 4명의 인물 인터뷰 글을 작성했습니다. 블로그를 시작한지 2개월 정도 되었는데 이정도면 꽤 좋은 출발인것 같아요 :) 인터뷰 질문 응답을 변역하는 과정에서 제가 챗 GPT를 활용하고 계시는 점, 모두들 아시리라 믿습니다. 제가 공부를 하면서 영어 논문을 작성할 때 마다 저랑 함께 작문 피드백을 해주고 수정해주시는 전문가와 함께 했었습니다. 영어를 잘 못했던 유학생 시절에 대학교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저에게 큰 도움이 되었기에 챗 지피티가 이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접근한 방법입니다. 챗 지피티가 저랑 함께 번역 작업을 하는 파트너가 되주고 있고, 저도 인터뷰를 지금까지 4건 작업하면서 얻은 작업방식과 데이터를 프롬프트로 저장해 커스텀GPT를 꾸준히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보시는 것 처럼 제가 만든 번역용 커스텀 GPT입니다. 대화하듯 언어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IIL 인공지능이 앞으로 가능성이 많을거라 생각되어 오픈AI 사의 챗 GPT를 번역용 인공지능으로 선택했습니다. 제가 만든 커스텀 GPT가 기본형 GPT랑 어떤 점이 다른지 비교해보겠습니다. 블로그의 목적과 함께 내가 지피티에게 요청하는 것, 의도, 원하는 점을 설명해줬더니 곧바로 영문으로 작성해줬습니다. 영작에 집중해서 보시죠! 이제, 제가 만든 커스텀 GPT 에도 똑같은 질문을 복사 붙여넣기 해 넣었습니다. 제가 커스텀한 GPT는 영문 뿐만 아니라 한국어도 고려해서 두가지 언어를 신경썼습니다. 두가지 언어를 동시에 생각해서 한국어로 우선 글을 써주고 영어 문맥에 맞춰 영문 번역도 제안해줬습니다. 영문을 보면 어감이나 사용된 용어도 차이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어떤게 훨씬 더 자연스럽나요? 이번에는 제가 블로그 포스팅 안에 쓴 글을 복사해서 붙여넣어 챗GPT에게 명령어를 적어넣었습니다. 이것도 글쓴이가 원하는 방향을 잘 정리해서 번역 작업하고, 어떤점을 자연스럽게 고쳤는지 ...

Interview with Instant Noodle Specialist Piki - 한국 라면 평론가 "라면완전정복 피키"님의 콘텐츠를 만나다

 


라면완전정복 피키님은 누구입니까?


안녕하세요.

저는 라면 평론가, 크리에이터로 활동 중인 라면정복자피키 지영준입니다. 업체의 협찬 없이 2013년부터 2000여종 이상의 라면을 맛보고 블로그와 유튜브를 통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2023년부터는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전업 평론가, 크리에이터로서 라면 콘텐츠 제작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단순히 라면을 맛보고 소개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라면의 역사를 정리하고, 라면과 관련한 명소, 단체, 인물을 취재해 알려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P.S. 라면 완전정복은세상의 모든 라면을 먹어보고 소개해보자 목표이자, 블로그의 제목입니다. 닉네임은라면정복자피키입니다. 또한 인터뷰에서 제가 말씀드리는 라면의 정의는 일본식 라멘이 아니라 인스턴트 라면(Instant ramen) 지칭한다는 점을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언제부터 “라면을 전세계에 알리고 싶다”라는 꿈을 키우기 시작했나요? 라면에 관련해 언제부터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했는지 궁금합니다. 


2012년 군생활 당시 인생을 재밌게 해줄 취미를 찾다가 발견한 것이 라면이었습니다. 군대를 전역하기 전에 군대 매점에 파는 모든 라면을 먹어보자는 소박한 꿈을 세웠는데, 그 소박한 목표는 저를 매우 즐겁게 만들었고, 그런 긍정적 경험 속에서 라면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습니다. 


그리고 라면에 관심이 생겨, 검색해보니 한국은 세계에서 인스턴트 라면을 가장 많이 먹는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라면을 전문적으로 소개해주는 사람이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됬습니다. 동시에 미국에서 ‘한스 리네쉬’라는 사람이 라면 블로거로서 활동하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죠.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라면을 즐겨먹는 한국에 한스 리네쉬 같은 사람이 없다는 것이 매우 아쉬웠습니다. 제가 그런 역할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세상의 모든 라면을 먹어보고 소개해보자’는 꿈을 세우고 ‘라면 완전정복’이라는 프로젝트 명으로 블로그에서 라면을 소개하기 시작했습니다. 2013년부터 현재까지 12년 간 2,000여 종 이상의 라면을 소개했습니다. 









피키님 컨텐츠를 통해 독자들은 무엇을 얻을 수 있나요?  피키님께서 지금 진행하시는 일을 통해 만들고 싶은 비전이나 포부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제가 가장 주력하는 컨텐츠는 평점을 매겨 소개하는 라면 리뷰입니다. 단순히 제품의 맛만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의 개발 이야기, 역사, 변천사 등을 소개해서, 어떤 라면인지 알고 드실 수 있도록 리뷰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라면 리뷰는 업체의 협찬 없이 이루어지며, 제 기준과 소신에 따라 평점을 매겨 소개하고 있습니다. 라면 업체에서 대가를 받고 작성한 후기가 아닌, 소비자, 평론가의 입장에서 제작된 라면 리뷰 콘텐츠를 보고 싶으신 분은 제 블로그와 유튜브를 찾아주신다면 만족하실 수 있을겁니다. 



또한 단순히 제품을 리뷰하는 것을 넘어 라면의 역사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한국 라면 산업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어떤 라면들이 출시되었다가 단종되고 이어져오는지 취재하고 조사해서 소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물을 인터뷰하고 단체와 행사들도 취재해 소개하고 있죠. 최근에는 “라면의 역사” 책을 집필했고, 방송, 강연, 토크쇼 등에서 시민들이 궁금해하고 재밌어하실만한 라면 이야기를 들려드리고 있습니다. 


한국 소비자들에게 라면과 관련한 콘텐츠가 먹방 콘텐츠 외에도 재밌는 콘텐츠가 많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꾸준히 노력할 것이며, 한국 라면 박물관을 세워 라면을 좋아하는 시민들에게 라면의 모든 것을 보여드리고, 체험하실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꿈입니다. 






어떻게 목적을 실현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피키님의 꿈 또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이나 향후 계획이 있나요?


전업 평론가, 크리에이터로 활동하면서 다양한 활동에서 수입을 얻고, 목표하고 이루어나가고 있습니다. 콘텐츠 제작을 통해 블로그와 유튜브에서 수입을 분배받으며, 책 집필 인세, 강연비, 방송 출연료, 행사 진행비 등으로 수입을 얻습니다. 최근 교양 강연, 학교 진로 특강 강연 등의 제의가 많이 들어와서, 강연 수입으로 경제적으로 큰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방송 출연, 강연 제의, 행사 토크쇼 등 기회가 생긴다면 라면과 관련한 깊이있고, 재밌는 이야기를 소개해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제가 목표하고 나아가는 길이 누군가가 걸어간 길이 아닌 만큼 다양한 기회를 살려 라면 산업 발전과 라면 문화 콘텐츠 진흥을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응원 부탁드립니다. 





왜 블로그를 첫 출발로 삼았나요? 그리고 피키님 컨텐츠를 즐기는 독자로써 라면을 왜 전세계에 알리고 싶었는지 궁금합니다.  


당시 제 꿈을 이뤄나가는 SNS로서 접근성이 있었던 매체가 블로그였기에 네이버 블로그에서 처음 연재를 시작했습니다. 현재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라면 산업 저력과 한국인들의 라면 사랑은 대단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라면 관련 문화 콘텐츠들은 먹방 콘텐츠 위주로, 라면을 좋아하는 시민들이 다양하게 즐기기에는 매우 부족합니다. 저는 라면을 단순히 먹방 콘텐츠로 소비하는 것을 넘어 교육, 과학, 역사, 문화 다양한 분야에서 재밌는 문화 콘텐츠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런 일환으로 2024년에 출간한 “라면의 역사” 책이 큰 인기를 얻었고, 최근 일본 수출 계약을 맺어 2025년 중에 일본에서 출간될 예정입니다. 후속 책 출간도 논의되었고, 준비 중입니다. 앞으로 다양한 매체에서 다양한 주제로 라면의 재밌는 이야기를 들려드릴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라면정복자피키 유튜브와 라면 완전정복 블로그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유튜브 https://www.youtube.com/@ramenpiki

📖 블로그 https://blog.naver.com/pikich89/ 


감사합니다 


라면 평론가, 라면 문화 콘텐츠 창작자 

라면정복자피키 지영준 








Who is Piki, the Instant Noodle Specialist?
Can you introduce yourself beyond just your name?

Hi! I’m Young-jun Ji, also known as Instant Noodle Specialist Piki. I’m a food reviewer, consultant, and content creator who focuses on instant noodles. Since 2013, I’ve tried over 2,000 types of instant noodles and shared my thoughts on my blog and YouTube.

In 2023, I decided to go full-time as an instant noodle specialist. My goal is not just to taste and review noodles, but also to explore their history, visit famous places related to them, and help companies create better products based on market trends.

"The plan: Beat up every instant noodle that exists in the world and introduce it to the audience." That’s the mission behind everything I do. My focus is on instant noodles, not traditional Japanese ramen.


When did you start dreaming of sharing instant noodles with the world?
When did you start collecting information? 

Back in 2012, when I was in the military, I was looking for a fun hobby. That’s when I discovered instant noodles. Before I finished my service, I set myself a small challenge: try every type of instant noodle sold at the military store. It was simple but exciting, and my love for instant noodles grew from there.

As I researched, I found out that even though South Korea eats more instant noodles per person than any other country, no one in South Korea was seriously reviewing them.

Then I came across Hans Lienesch, a well-known instant noodle blogger from the U.S. It felt strange that South Korea—where instant noodles are a huge part of daily life—didn’t have someone like Hans Lienesch.

That’s when I decided: I’ll be the one to do it! In 2013, I started my instant noodle review project, and since then, I’ve introduced over 2,000 different types to my audience.




What can people learn from your content?
What’s your bigger vision?

My main content is instant noodle reviews with honest ratings. But I don’t just talk about taste—I also go deeper into the product’s development, history, and story so people can really understand what they’re eating.

Everything I do is 100% independent—no company pays me for reviews. So, if you want honest, consumer-focused reviews, my blog and YouTube are the place to go!

Besides reviews, I also research and document the history of South Korea’s instant noodle industry—how it has grown, which products became popular, and which ones disappeared.

I also work as a consultant for instant noodle companies, helping them understand market trends and develop better products.

Recently, I wrote a book on the history of instant noodles and have been giving talks and lectures on TV, at events, and even in schools. My biggest dream is to open a South Korean Instant Noodle Museum where fans can explore everything about instant noodles in one place!


How are you working toward your dream?
How do you make a living from this?

Since I work full-time as an instant noodle specialist, I earn money from different sources:

    Blog & YouTube revenue

    Book sales & royalties

    Lecture & event fees

    TV appearances

    Consulting for instant noodle companies


Lately, I’ve been getting more consulting and speaking requests, which has helped me grow financially. Moving forward, I’ll keep appearing on media, giving lectures, and joining industry events to share even more interesting stories!

Since no one else has walked this path before, I’m making my own way—and I appreciate all the support!




Why did you start with a blog?
Besides being inspired by Hans Lienesch, was there another reason?

When I first started, blogs were the easiest way to share my journey. That’s why I launched my Naver Blog first. Now, I also use YouTube, Instagram, and other platforms.

South Korea’s instant noodle industry is huge, and people here love them. But most content about noodles is just Mukbang (eating shows). I want to take it further—turning instant noodles into a fun cultural topic by exploring their history, science, and stories.

Because of this, I wrote a history book on instant noodles in 2024, which was a big hit! It even got a Japanese publishing deal for 2025, and I’m already planning my next book.

I’ll keep working to share exciting stories about instant noodles through different media!


Where can people follow your work?

📺 YouTube:  https://www.youtube.com/@ramenpiki

📖 Blog: https://blog.naver.com/pikich89/ 

Thank you!


[인터뷰는 원문으로 진행하되 챗 GPT와 함께 글 편집 작업 했습니다]

[Writen text by Young-jun Ji, revised with Chat GPT]

댓글

HOT News

Areumdamda Inc. | Interview with CEO Jung-hoon Bae 가상현실과 삶을 이어주는 미디어 랩- 아름담다를 알다

  아름담다 대표님은 어떤 사람입니까? 안녕하세요. 아름담다 대표 배정훈 입니다. 저는 가끔 스스로를 청개구리 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 모든 사람들이 가는 길이 있다면 , 일부러 다른 길을 개척하는 불편함을 자초하는 사람 같습니다 . 물론 그런 길이 대부분 성공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요 . 그렇다고 겁이 없는 사람은 아니고 , 오히려 보통 사람보다 더 겁이 많은 편인데 ,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는 저도 미스터리입니다 . 다만 , 그 길에서 얻는 성취가 작더라도 험한 길을 계속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주는 것 같습니다 . 언제부터 아름담다를 창업하기로 결정했나요 ? 아름담다의  스토리가 궁금해요 .   저는 평생 저에게 맞는 일은 창의적인 생산이라고 생각해왔습니다 . 그게 어떤 분야가 되든지요 — 글이든 , 이미지든 , 음악이든 . 창의적인 일이라면 다양하게 해보고 싶은 욕심도 많았습니다 . 물론 그런 것들이 단지 순수하고 추상적인 개인적 욕구라면 , 현실적으로 제가 잘할 수 있는 일은 현업 안에서 찾아야겠지요 . 전공이었던 도시건축 관련 일과 , 오랜 시간 몸담았던 게임회사에서의 경험은 분명 행복했지만 , 결국 조직 안에서 제가 맡을 수 있는 일은 아주 작은 일부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 그래서 프로젝트 선정부터 총괄까지 , 더 창의적인 도전을 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 회사에 다니며 틈틈이 준비를 해왔지만 , 그 기간이 꽤 늘어지기도 했습니다 . 아무래도 몸담은 회사를 나와 돈 한 푼 없이 새로운 일을 시작한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었으니까요 . 하지만 한편으로는 , 일단 시작하지 않으면 그동안의 모든 준비가 무용지물이 될까 봐 두렵기도 했기에 , 결국 시...

인공지능이 검색엔진을 대신 할 수 있을까? (with 한국/미국 검색엔진의 AI 활용사례)

요즘 들어 인공지능이 검색엔진을 대체할 것이라는 뉴스를 자주 보게 됩니다. 예전에는 사람들이 궁금한 것을 찾을 때 네이버나 구글 같은 검색엔진을 사용했지만 이제는 그 빈도가 줄어들고 GPT나 제미나이 같은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저는 한국어 자료를 찾을 때는 네이버 영어 자료를 찾을 때는 구글을 사용하고 근거 있는 자료를 빠르게 뽑아낼 때는 지피티를 사용합니다. 상황에 따라 도구를 다르게 쓰다 보니 검색엔진과 인공지능의 차이가 점점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과연 인공지능이 검색엔진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까?  이 질문은 지금 우리 모두에게 꼭 필요한 질문입니다. 예전에는 사람들이 검색엔진을 통해 스스로 정보를 찾고 선별했다면 이제는 인공지능이 알아서 정보를 찾아주고 우리는 그저 받기만 하는 시대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스스로 선택해서 정보를 찾는 것과 주어지는 정보를 그대로 받는 것은 완전히 다른 일입니다. 정보의 선택권이 앞으로 우리가 고민해야 할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실제로 ‘슈링크플레이션’을 네이버와 구글에서 각각 검색해봤습니다. 네이버는 국내 최대 검색엔진이고 구글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검색엔진입니다. 두 플랫폼 모두 인공지능 기능을 도입했지만 그 방향은 서로 다릅니다.  네이버에서 ‘슈링크플레이션’을 검색하면 가장 먼저 출처 링크가 이미지 썸네일 형태로 나열됩니다. 제목은 흰색 글씨로 되어 있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지만 이미지를 중심으로 시각적인 몰입을 유도하는 구조입니다. 그 아래에는 용어의 정의와 유래 원인 실행 방식 등 하위 항목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정부 소비자 기업의 입장 등 관계 중심의 서술이 많다는 것입니다. 한국형 인공지능이 사회적 맥락과 이해관계를 강조하는 특징이 잘 드러납니다. 반면 구글은 창을 두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어 정보를 보여줍니다. 왼쪽에는 요약과 설명이 오른쪽에는 출처와 뉴스 링크가 위치합니다. 사용자가 요약부터 볼지...

WITH is for We Image Together Happy | 예술가들의 든든한 파트너, 문화예술 네트워크 위드 조용현 대표님과 나누다

 ◆ Who? 안녕하세요, 저는 예술가들이 혼자가 아닌 ‘함께’ 창작할 수 있도록 돕는 문화예술네트워크 위드의 대표 조용현입니다.   기획자이자 목공예 브랜드 ‘우드베네’의 운영자이기도 한데요,   저는 예술가들이 생존이 아닌 ‘성장’을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예술로 어떻게 먹고살 수 있을까?” 이 질문이 늘 제 고민의 중심이에요.   그래서 하루하루, 예술인의 수익 구조를 설계하고, 필요한 정보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저의 취미는 목공입니다. 저는 나무를 만지는 일을 좋아해요.   그래서 '우드베네'라는 작은 공방을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NFC나 QR 같은 기술을 예술적 디자인과 결합해 이야기를 담는 생활형 목공예품을 만들고 있어요.   예술작품이자 실용품이고, 동시에 문화콘텐츠가 되는 작업을 추구합니다. --- ◆ When? 현장에서 많은 예술가들이 정보를 몰라서 기회를 놓치고,   혼자 준비하다 지쳐서 창작을 포기하는 모습을 봤어요.   그걸 지켜보다가 “이 문제는 누군가 풀어야 한다면 내가 먼저 움직이자”는 생각이 들었고,   그래서 예술가들을 위한 실질적 정보 제공과 기획 행정의 플랫폼으로 '위드'를 만들게 됐습니다. --- ◆ Where? ‘위드’는 예술가의 ‘비즈니스 파트너’이자 ‘정보 길잡이’입니다.   공공 지원사업이나 일자리 정보, 기획서 작성, 매출 구조 만들기까지   예술가들이 어려워하는 실무를 함께 도와주고 있어요.   향후에는 AI와 결합해 더 많은 예술가들이 정보 격차 없이 활동할 수 있도록 확장할 계획입니다. --- ◆ What? 지금 예술가들은 단순한 전시나 공연 기회보다,   지속가능한 수익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