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똑똑한 번역 업무 특화] 커스텀 챗GPT 프롬프트 공개

 안녕하세요. 큐시커입니다. 제가 인터뷰 한 내용들을 알차게 즐기고 계시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총 4명의 인물 인터뷰 글을 작성했습니다. 블로그를 시작한지 2개월 정도 되었는데 이정도면 꽤 좋은 출발인것 같아요 :) 인터뷰 질문 응답을 변역하는 과정에서 제가 챗 GPT를 활용하고 계시는 점, 모두들 아시리라 믿습니다. 제가 공부를 하면서 영어 논문을 작성할 때 마다 저랑 함께 작문 피드백을 해주고 수정해주시는 전문가와 함께 했었습니다. 영어를 잘 못했던 유학생 시절에 대학교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저에게 큰 도움이 되었기에 챗 지피티가 이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접근한 방법입니다. 챗 지피티가 저랑 함께 번역 작업을 하는 파트너가 되주고 있고, 저도 인터뷰를 지금까지 4건 작업하면서 얻은 작업방식과 데이터를 프롬프트로 저장해 커스텀GPT를 꾸준히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보시는 것 처럼 제가 만든 번역용 커스텀 GPT입니다. 대화하듯 언어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IIL 인공지능이 앞으로 가능성이 많을거라 생각되어 오픈AI 사의 챗 GPT를 번역용 인공지능으로 선택했습니다. 제가 만든 커스텀 GPT가 기본형 GPT랑 어떤 점이 다른지 비교해보겠습니다. 블로그의 목적과 함께 내가 지피티에게 요청하는 것, 의도, 원하는 점을 설명해줬더니 곧바로 영문으로 작성해줬습니다. 영작에 집중해서 보시죠! 이제, 제가 만든 커스텀 GPT 에도 똑같은 질문을 복사 붙여넣기 해 넣었습니다. 제가 커스텀한 GPT는 영문 뿐만 아니라 한국어도 고려해서 두가지 언어를 신경썼습니다. 두가지 언어를 동시에 생각해서 한국어로 우선 글을 써주고 영어 문맥에 맞춰 영문 번역도 제안해줬습니다. 영문을 보면 어감이나 사용된 용어도 차이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어떤게 훨씬 더 자연스럽나요? 이번에는 제가 블로그 포스팅 안에 쓴 글을 복사해서 붙여넣어 챗GPT에게 명령어를 적어넣었습니다. 이것도 글쓴이가 원하는 방향을 잘 정리해서 번역 작업하고, 어떤점을 자연스럽게 고쳤는지 ...

Areumdamda Inc. | Interview with CEO Jung-hoon Bae 가상현실과 삶을 이어주는 미디어 랩- 아름담다를 알다

 



아름담다 대표님은 어떤 사람입니까?

안녕하세요. 아름담다 대표 배정훈 입니다. 저는 가끔 스스로를 청개구리 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든 사람들이 가는 길이 있다면, 일부러 다른 길을 개척하는 불편함을 자초하는 사람 같습니다. 물론 그런 길이 대부분 성공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요. 그렇다고 겁이 없는 사람은 아니고, 오히려 보통 사람보다 겁이 많은 편인데, 그렇게 행동하는지는 저도 미스터리입니다. 다만, 길에서 얻는 성취가 작더라도 험한 길을 계속 나아갈 있는 원동력이 되어주는 같습니다.



언제부터 아름담다를 창업하기로 결정했나요? 아름담다의 스토리가 궁금해요. 


저는 평생 저에게 맞는 일은 창의적인 생산이라고 생각해왔습니다. 그게 어떤 분야가 되든지요글이든, 이미지든, 음악이든. 창의적인 일이라면 다양하게 해보고 싶은 욕심도 많았습니다. 물론 그런 것들이 단지 순수하고 추상적인 개인적 욕구라면, 현실적으로 제가 잘할 있는 일은 현업 안에서 찾아야겠지요. 전공이었던 도시건축 관련 일과, 오랜 시간 몸담았던 게임회사에서의 경험은 분명 행복했지만, 결국 조직 안에서 제가 맡을 있는 일은 아주 작은 일부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래서 프로젝트 선정부터 총괄까지, 창의적인 도전을 하고 싶었던 같습니다. 회사에 다니며 틈틈이 준비를 해왔지만, 기간이 늘어지기도 했습니다. 아무래도 몸담은 회사를 나와 없이 새로운 일을 시작한다는 쉬운 일이 아니었으니까요. 하지만 한편으로는, 일단 시작하지 않으면 그동안의 모든 준비가 무용지물이 될까 두렵기도 했기에, 결국 시작하게 같습니다.




어디에서 아름담다의 컨텐츠를 즐길 있나요? 아직 정식공개 준비 중이라면 
언제쯤 예상하고 있으신가요?


현재 아름담다의 주요 프로젝트인모두의 도서관 예로 들면, 공공기관용으로 서울아트책보고, 부산솔로몬파크, 군포국민체육센터, 송정복합체육센터, 상남복합문화센터 등에서 이용할 있습니다. 일반 소비자용 B2C 버전도 어느 정도 오픈된 상태이긴 하나, 아직은 테스트 단계에 있기 때문에, 완전히 준비가 되면 보다 체계적으로 공개할 예정입니다.



아름담다가 추구하는가상현실 도서관 개념은 무엇인가요? 제가 마지막으로 사무실을 방문했을 느림의 미학 추구하신다는 대표님의 말씀이 인상이 깊었습니다. 조금 이야기 해주실 수 있을까요?


책이 디지털북이 된다면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해온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먼저 하게 되었습니다. 당연히 인생 속에서 책을 읽는다는 것은 로봇처럼 정보만 습득하는 개념이 아니니깐요. 책을 때의 환경과 분위기, 자체가 지닌 다양한 재질감 모든 것이 책의 정보와 함께 기억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책의 세계로넘어가는경험이 가능하다고 믿습니다. 그것은 어쩌면 많은 사람들의 상상이 실현되는 순간이기도 것입니다. 책을 기반으로 상상의 세계가 하나의 공간에 펼쳐지는 것이니까요.

느림의 미학은 조금은 흔한 이야기처럼 들릴 있지만 점점 빠르게 반응하고 대처하는 우리의 모습을 잠시 붙잡아두는 데서 시작합니다. 약간 답답한 정도라도 인내해본다면 속도를 통해 오히려 많은 것을 얻을 있다고 믿습니다. 그래서 콘텐츠들에는 예술적인 요소와 음악 그리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담겨 있습니다. 아직 개발적으로는 원하는 완성도와 기획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계속해서 발전해 나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목적을 실현하고 있나요? 번에루나홉 출시를 준비하시고 계신데, 루나홉을 통해 어떤 길을 바라보고 계시는지 궁금합니다. 


현재는 국내적으로도, 세계적으로도 모두가 어려운 시기지만 회사는 모든 것을 감내해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아름담다는 어떻게 살아남고, 성장할 있을지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비전은 여전히 분명합니다. 아름담다가 만들어낸 위로의 가치가 담긴 세계관을 세계에 널리 퍼뜨리고, 많은 이들이 안에서 함께 연결될 있는 세상을 꿈꾸고 있습니다. 그리고 속에서 추구하는 행복이 현실에서의 고통을 덜어주는 힘이 되길 바랍니다. 나아가 단순한 도피처가 아니라, 다시 현실 세계를 향해 발걸음을 내딛을 있도록 돕는 가상세계를 정착시키고 싶습니다. 너무 원대한 꿈처럼 들릴 수도 있지만, 꿈을 꾸는 것은 좋다고 생각합니다.

루나홉은 아름담다의 주요 힐링 프로젝트이자 그림책 세계관을 확장하는 콘텐츠입니다. 그림책을 원작으로 게임이라는 점만으로 특별하다고 보긴 어렵지만, 앞서 언급한모두의 도서관 함께 보자면 하나의 세계관을 구축해가는 과정이라고 있습니다. 그림책을 중심에 두고 힐링을 담은 콘텐츠로 확장되는 것이죠. 아름담다만의 감성과 메시지를 담은 아트 어드벤처 게임을 선보이기 위해 열심히 준비하고 있습니다. 게임이 가지는 파급력은 말할 나위 없겠죠. 시장 안에서 아름담다가 잘할 있는 것을 보여주는 일은 상업적으로도, 향후 프로젝트의 지속 가능성을 위해서도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가상현실과 게임을 사업 아이템으로 삼았나요그리고 아름담다를 알고 있고, 게임을 몇번 경험해본 사람으로써 아름담다 어떻게 수익화를 하고 사업비를 운영하며, 게임을 통해 어떤 선순환을  있는지 궁금합니다. (펀딩 내용을 보니, 인게임 간판 상표 노출을 해주는 리워드가 눈에 돋보입니다. 되게 좋은 아이디어인거 같습니다! 이미 게임업계에서 도입이 마케팅 수단인가요?)  


아름담다는 게임회사이면서 동시에 다양한 융합 콘텐츠 회사이기도 합니다. 어디 하나에 머무르지 않고, 다양한 결합을 통해 새로움을 추구하는 자체를 길이라고 믿고 있습니다. 그러한 경험을 쌓아가며 아름담다만의 노하우도 함께 축적해가고 있습니다. 물론 스타트업으로서 길은 쉽지 않고, 수익화 또한 시간이 걸리는 일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협업이나 수익 분배 과정에서는 언제나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사회 환원에 대해서도 꾸준히 고민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생존에 집중해야 하는 시기이지만, 지켜야 가치가 분명해야 생존도 가능하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직은 공공기관 중심의 매출 구조와 일부 외주 작업을 병행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아름담다가 기획한 자체 프로젝트에 집중할 있는 시기를 앞당기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게임은 아직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시선이 많지만, 그것은 게임이 가진 영향력을 단지 부정적으로만 해석하는 시각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어떤 분야든 영향력은 언제나 양면을 지니고 있죠. 물론 그중 부정적인 면을 줄여나가려는 노력도 필요하겠지만, 아름담다는 좋은 방향성을 끌어내는 집중하고자 합니다. 아름담다는 그것을 믿는 회사입니다.

말씀하신 간판과 상표 노출 방식이 업계 최초인지는 확실치 않지만, 참고한 사례는 없었습니다. 다만 흥미롭고 효과적인 마케팅 방식이라고 판단해 도입한 것이며, 현재는 반응을 지켜보는 단계입니다.

좋은 질문들 덕분에 아름담다가 하고 있는 일들에 대해 다시 한번 정리해볼 있었습니다. 아직 많은 부분에서 어려움이 있지만, 응원해주시는 마음이 힘이 됩니다. 아름담다도 처음 가졌던 목표를 잊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겠습니다.








Could you tell us a bit about yourself, what you enjoy, and the philosophy you live by?


Hello, everyone! I am Jung-hoon Bae, the CEO of Areumdamda Inc. I sometimes think I’ve always had an independent spirit. If there’s a path that everyone is taking, I tend to choose a different one rather than follow the crowd — even if it means making things more difficult for myself. I know those paths may not lead to success, and it’s not that I’m fearless — I’m probably more fearful than many, though not the most. Why I keep doing it, even I don’t fully understand. Still, even when the reward is small, the sense of fulfillment I gain from walking that rougher road is what keeps me going.


What led you to start Areumdamda Inc.? Was there a long preparation process?


Creative work has always felt like the right path for me. Whether it’s writing, visuals, or music, I’ve wanted to try it all. But personal passion alone isn’t enough — I had to figure out what I could actually do well. I studied urban architecture and worked in the game industry for years. I enjoyed it, but I was always just a small bolt in a much larger machine.


I wanted more freedom and creativity — the chance to lead a project from start to finish. I prepared for that while still working, though the process stretched out longer than I expected. It’s hard to leave a steady job and start something new with no money. But the fear of wasting all the time I’d spent preparing if I didn’t start — that’s what finally pushed me forward.




Where can people experience Areumdamda Inc.’s content?


One of Areumdamda Inc.’s main projects is Library for Everyone, which is currently available in various public institutions — including Seoul Art Book Library, Busan Solomon Park, Gunpo National Sports Center, Songjeong Complex Sports Center, and Sangnam Cultural Complex.


We’ve also released a B2C version for individual users to a certain extent, but it’s still in the testing phase. Once we feel it’s fully ready, we plan to launch it in a more structured and accessible way.


What is the idea behind Areumdamda Inc.’s “Virtual Library” and its philosophy of slowness?


When books become digital, I am wondering — could they be more than just a means of delivering information? After all, reading a book in real life isn’t just about absorbing facts like a robot. It’s about the story, the atmosphere, the feel of the pages — all those elements get stored in our memory along with the content of the book itself. And ultimately, we cross into the world of the book. In a way, it’s the realization of what many people imagine — a world of stories and ideas unfolding in one immersive space.


The beauty of slowness, though often said, is something Areumdamda Inc. tries to hold onto in a world that keeps speeding up. Even if it feels a little frustrating at first, the team believes that if you can just be patient with that slower pace, it ends up offering more than expected. That’s why Areumdamda Inc.’s content weaves in art, music, and creative ideas. While the product hasn’t yet reached the level of polish the team envisions from a development and planning standpoint, they believe it is steadily getting there.




How are you working to bring Areumdamda Inc.’s vision to life? And what direction does the LunaHop project represent?


These are difficult times, both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But I don’t believe a company should use outside circumstances as an excuse. I’ve been thinking a lot about how Areumdamda Inc. can not only survive, but grow.


I still trust the vision I built for this company. It’s about creating a world rooted in comfort and emotional healing — a place where people from all over the world can connect. I hope the happiness they find there can ease real-world pain. More than that, I want it to help them return to their lives with new strength.


This isn’t about escaping reality. I want to build a space that quietly supports people as they go back into it. It’s a big dream, but one I believe in.


LunaHop is one of Areumdamda Inc.’s main healing projects. It expands the picture book world into something interactive. On its own, a picture book game might not seem groundbreaking. But alongside Library for Everyone, it’s part of a growing, shared universe.


We’re working hard to bring this art-based healing game to life. The impact of games speaks for itself. And for me, showing what Areumdamda Inc. can do in this space is key — both creatively and for our future.




Why did you choose virtual reality and games as a business? What do you see as Areumdamda Inc.’s strength and path forward?


Areumdamda Inc. is a game company, but also a creative studio that blends many different forms of content. I’ve never believed in staying in one lane. I think there’s value in combining ideas and building something new from them. And as I’ve gained more experience, I’ve also started to develop a clearer sense of how Areumdamda Inc. works — what makes it different.


Of course, that process is slow. It takes time. And it’s even harder when you’re a startup. But I’ve always tried to make sure everything Areumdamda Inc. does — from collaborations to revenue sharing — is fair and transparent. I think that same care should extend to social impact too. Yes, the company is still just trying to survive. But I believe holding onto core values is what makes survival possible.


Right now, most of Areumdamda Inc.’s revenue comes from public sector projects and a few outsourced jobs. But my goal is to shift more of the focus toward original content — and the team is working hard to make that happen.


There’s still stigma around games. Some people only see their negative effects. But that’s true of anything powerful — the more impact something has, the more potential it has to be misunderstood or misused. I believe what matters is how that power is used. And I believe in using it to do good. That’s what Areumdamda Inc. stands for.


As for things like signage or branding — I’m not sure if Areumdamda Inc. was the first to do it, and it didn’t come from anyone else’s idea. It just felt like a fun direction, so the team tried it. They’re still watching to see how people respond.


Thank you for the thoughtful questions. Things are still tough, but your support gives me strength. I’ll keep moving forward — and I won’t forget the reason I started.


Where can people see your work?

📺 YouTube:  https://www.youtube.com/@AREUMDAMDA

📖 Website: https://www.areumdamda.com/

Thank you!


[인터뷰는 원문으로 진행하되 챗 GPT와 함께 글 편집 작업 했습니다]

[Writen text by Jung-hoon Bae, revised with Chat GPT]

댓글

HOT News

Interview with Instant Noodle Specialist Piki - 한국 라면 평론가 "라면완전정복 피키"님의 콘텐츠를 만나다

  라면완전정복 피키님은 누구입니까? 안녕하세요. 저는 라면 평론가, 크리에이터로 활동 중인 라면정복자피키 지영준입니다. 업체의 협찬 없이 2013년부터 2000여종 이상의 라면을 맛보고 블로그와 유튜브를 통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2023년부터는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전업 평론가, 크리에이터로서 라면 콘텐츠 제작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단순히 라면을 맛보고 소개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라면의 역사를 정리하고, 라면과 관련한 명소, 단체, 인물을 취재해 알려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P.S. 라면 완전정복은 “ 세상의 모든 라면을 먹어보고 소개해보자 ” 는 제 목표이자 , 블로그의 제목입니다 . 제 닉네임은 “ 라면정복자피키 ” 입니다 . 또한 인터뷰에서 제가 말씀드리는 라면의 정의는 일본식 라멘이 아니라 인스턴트 라면 (Instant ramen) 을 지칭한다는 점을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언제부터 “라면을 전세계에 알리고 싶다”라는 꿈을 키우기 시작했나요? 라면에 관련해 언제부터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했는지 궁금합니다.  2012년 군생활 당시 인생을 재밌게 해줄 취미를 찾다가 발견한 것이 라면이었습니다. 군대를 전역하기 전에 군대 매점에 파는 모든 라면을 먹어보자는 소박한 꿈을 세웠는데, 그 소박한 목표는 저를 매우 즐겁게 만들었고, 그런 긍정적 경험 속에서 라면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습니다.   그리고 라면에 관심이 생겨, 검색해보니 한국은 세계에서 인스턴트 라면을 가장 많이 먹는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라면을 전문적으로 소개해주는 사람이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됬습니다. 동시에 미국에서 ‘한스 리네쉬’라는 사람이 라면 블로거로서 활동하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죠.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라면을 즐겨먹는 한국에 한스 리네쉬 같은 사람이 없다는 것이 매우 아쉬웠습니다. 제가 그런 역할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세상의 모든 라면을 먹어보고 소개해보자’는 꿈...

인공지능이 검색엔진을 대신 할 수 있을까? (with 한국/미국 검색엔진의 AI 활용사례)

요즘 들어 인공지능이 검색엔진을 대체할 것이라는 뉴스를 자주 보게 됩니다. 예전에는 사람들이 궁금한 것을 찾을 때 네이버나 구글 같은 검색엔진을 사용했지만 이제는 그 빈도가 줄어들고 GPT나 제미나이 같은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저는 한국어 자료를 찾을 때는 네이버 영어 자료를 찾을 때는 구글을 사용하고 근거 있는 자료를 빠르게 뽑아낼 때는 지피티를 사용합니다. 상황에 따라 도구를 다르게 쓰다 보니 검색엔진과 인공지능의 차이가 점점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과연 인공지능이 검색엔진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까?  이 질문은 지금 우리 모두에게 꼭 필요한 질문입니다. 예전에는 사람들이 검색엔진을 통해 스스로 정보를 찾고 선별했다면 이제는 인공지능이 알아서 정보를 찾아주고 우리는 그저 받기만 하는 시대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스스로 선택해서 정보를 찾는 것과 주어지는 정보를 그대로 받는 것은 완전히 다른 일입니다. 정보의 선택권이 앞으로 우리가 고민해야 할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실제로 ‘슈링크플레이션’을 네이버와 구글에서 각각 검색해봤습니다. 네이버는 국내 최대 검색엔진이고 구글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검색엔진입니다. 두 플랫폼 모두 인공지능 기능을 도입했지만 그 방향은 서로 다릅니다.  네이버에서 ‘슈링크플레이션’을 검색하면 가장 먼저 출처 링크가 이미지 썸네일 형태로 나열됩니다. 제목은 흰색 글씨로 되어 있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지만 이미지를 중심으로 시각적인 몰입을 유도하는 구조입니다. 그 아래에는 용어의 정의와 유래 원인 실행 방식 등 하위 항목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정부 소비자 기업의 입장 등 관계 중심의 서술이 많다는 것입니다. 한국형 인공지능이 사회적 맥락과 이해관계를 강조하는 특징이 잘 드러납니다. 반면 구글은 창을 두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어 정보를 보여줍니다. 왼쪽에는 요약과 설명이 오른쪽에는 출처와 뉴스 링크가 위치합니다. 사용자가 요약부터 볼지...

WITH is for We Image Together Happy | 예술가들의 든든한 파트너, 문화예술 네트워크 위드 조용현 대표님과 나누다

 ◆ Who? 안녕하세요, 저는 예술가들이 혼자가 아닌 ‘함께’ 창작할 수 있도록 돕는 문화예술네트워크 위드의 대표 조용현입니다.   기획자이자 목공예 브랜드 ‘우드베네’의 운영자이기도 한데요,   저는 예술가들이 생존이 아닌 ‘성장’을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예술로 어떻게 먹고살 수 있을까?” 이 질문이 늘 제 고민의 중심이에요.   그래서 하루하루, 예술인의 수익 구조를 설계하고, 필요한 정보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저의 취미는 목공입니다. 저는 나무를 만지는 일을 좋아해요.   그래서 '우드베네'라는 작은 공방을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NFC나 QR 같은 기술을 예술적 디자인과 결합해 이야기를 담는 생활형 목공예품을 만들고 있어요.   예술작품이자 실용품이고, 동시에 문화콘텐츠가 되는 작업을 추구합니다. --- ◆ When? 현장에서 많은 예술가들이 정보를 몰라서 기회를 놓치고,   혼자 준비하다 지쳐서 창작을 포기하는 모습을 봤어요.   그걸 지켜보다가 “이 문제는 누군가 풀어야 한다면 내가 먼저 움직이자”는 생각이 들었고,   그래서 예술가들을 위한 실질적 정보 제공과 기획 행정의 플랫폼으로 '위드'를 만들게 됐습니다. --- ◆ Where? ‘위드’는 예술가의 ‘비즈니스 파트너’이자 ‘정보 길잡이’입니다.   공공 지원사업이나 일자리 정보, 기획서 작성, 매출 구조 만들기까지   예술가들이 어려워하는 실무를 함께 도와주고 있어요.   향후에는 AI와 결합해 더 많은 예술가들이 정보 격차 없이 활동할 수 있도록 확장할 계획입니다. --- ◆ What? 지금 예술가들은 단순한 전시나 공연 기회보다,   지속가능한 수익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