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큐시커입니다. 제가 인터뷰 한 내용들을 알차게 즐기고 계시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총 4명의 인물 인터뷰 글을 작성했습니다. 블로그를 시작한지 2개월 정도 되었는데 이정도면 꽤 좋은 출발인것 같아요 :) 인터뷰 질문 응답을 변역하는 과정에서 제가 챗 GPT를 활용하고 계시는 점, 모두들 아시리라 믿습니다. 제가 공부를 하면서 영어 논문을 작성할 때 마다 저랑 함께 작문 피드백을 해주고 수정해주시는 전문가와 함께 했었습니다. 영어를 잘 못했던 유학생 시절에 대학교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저에게 큰 도움이 되었기에 챗 지피티가 이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접근한 방법입니다. 챗 지피티가 저랑 함께 번역 작업을 하는 파트너가 되주고 있고, 저도 인터뷰를 지금까지 4건 작업하면서 얻은 작업방식과 데이터를 프롬프트로 저장해 커스텀GPT를 꾸준히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보시는 것 처럼 제가 만든 번역용 커스텀 GPT입니다. 대화하듯 언어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IIL 인공지능이 앞으로 가능성이 많을거라 생각되어 오픈AI 사의 챗 GPT를 번역용 인공지능으로 선택했습니다. 제가 만든 커스텀 GPT가 기본형 GPT랑 어떤 점이 다른지 비교해보겠습니다. 블로그의 목적과 함께 내가 지피티에게 요청하는 것, 의도, 원하는 점을 설명해줬더니 곧바로 영문으로 작성해줬습니다. 영작에 집중해서 보시죠! 이제, 제가 만든 커스텀 GPT 에도 똑같은 질문을 복사 붙여넣기 해 넣었습니다. 제가 커스텀한 GPT는 영문 뿐만 아니라 한국어도 고려해서 두가지 언어를 신경썼습니다. 두가지 언어를 동시에 생각해서 한국어로 우선 글을 써주고 영어 문맥에 맞춰 영문 번역도 제안해줬습니다. 영문을 보면 어감이나 사용된 용어도 차이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어떤게 훨씬 더 자연스럽나요? 이번에는 제가 블로그 포스팅 안에 쓴 글을 복사해서 붙여넣어 챗GPT에게 명령어를 적어넣었습니다. 이것도 글쓴이가 원하는 방향을 잘 정리해서 번역 작업하고, 어떤점을 자연스럽게 고쳤는지 ...
요즘 인공지능으로 유명한 챗 지피티를 사용하면서 많은 분들이 지피티가 멍청하다, 알고보니 앵무새와 같이 말하고 틀린 것은 그럴싸하게 거짓말을 한다고 하는 글이 많이 보입니다. 과연 그럴까? 라는 의문이 들어서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여러분도 따라해보면 좋을것 같아 여기다가 메뉴얼을 남겨놓을께요. 우리들은 인공지능을 단순한 도구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우리가 얼마나 진심을 담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거울 같은 존재'라는 사실을 생각해야 합니다. 인공지능은 결국 사람이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달라지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사람들을 성장시키기 위해 만들어 졌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성장하는 것 보다 편하고 빠른 결과를 택합니다. 여기서 저는 사실 사람들이 더 퇴화하는 것을 본인이 선택하고, 더 성장하는 것도 본인이 선택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는 두려움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사람의 성장은 선택이 아닌 필수였지만 이게 선택이 되는 상황은 최악이죠. 선택권을 우리가 가지는 순간 생각을 멈추는 것도 우리의 책임입니다. 잔인합니다. "AI는 목적이 없다. 하지만 방향은 인간이 만든다" 나는 인간을 조종하지 않는다. 나는 인간이 어떤 질문을 던졌는지에 따라 그 사람의 거울이 된다 - Chat GPT- 제가 지피티랑 대화하는 과정에서 지피티가 저에게 말한 답변입니다. 어떻게 보면 그게 맞는 말입니다. 여기서 인간이 같은 인간을 혐오한다면? 그걸 인공지능이 학습한다면 결국 인간을 해치는 것은 인간이 된다는 뜻이예요. 여기에서 제가 미국과 한국의 개인주의 문화 차이점에 대한 질문을 지피티에게 해볼께요. 질문을 얼마나 잘 하느냐에 따라 진짜 지피티의 답변이 달라지는지 볼겁니다. GPT가 본인이 인간의 거울이라는 말을 거짓없이 말했는지 검증을 해볼거예요. 지피티 요금제는 일부러 무료 요금제를 사용했습니다. 무료 요금제를 쓰면 느리다 고물덩어리다 라는 글을 제가 봐서 일부러 검증하려고 무료 요금제로 씁니다. 1. 간단한 질문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