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똑똑한 번역 업무 특화] 커스텀 챗GPT 프롬프트 공개

 안녕하세요. 큐시커입니다. 제가 인터뷰 한 내용들을 알차게 즐기고 계시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총 4명의 인물 인터뷰 글을 작성했습니다. 블로그를 시작한지 2개월 정도 되었는데 이정도면 꽤 좋은 출발인것 같아요 :) 인터뷰 질문 응답을 변역하는 과정에서 제가 챗 GPT를 활용하고 계시는 점, 모두들 아시리라 믿습니다. 제가 공부를 하면서 영어 논문을 작성할 때 마다 저랑 함께 작문 피드백을 해주고 수정해주시는 전문가와 함께 했었습니다. 영어를 잘 못했던 유학생 시절에 대학교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저에게 큰 도움이 되었기에 챗 지피티가 이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접근한 방법입니다. 챗 지피티가 저랑 함께 번역 작업을 하는 파트너가 되주고 있고, 저도 인터뷰를 지금까지 4건 작업하면서 얻은 작업방식과 데이터를 프롬프트로 저장해 커스텀GPT를 꾸준히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보시는 것 처럼 제가 만든 번역용 커스텀 GPT입니다. 대화하듯 언어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IIL 인공지능이 앞으로 가능성이 많을거라 생각되어 오픈AI 사의 챗 GPT를 번역용 인공지능으로 선택했습니다. 제가 만든 커스텀 GPT가 기본형 GPT랑 어떤 점이 다른지 비교해보겠습니다. 블로그의 목적과 함께 내가 지피티에게 요청하는 것, 의도, 원하는 점을 설명해줬더니 곧바로 영문으로 작성해줬습니다. 영작에 집중해서 보시죠! 이제, 제가 만든 커스텀 GPT 에도 똑같은 질문을 복사 붙여넣기 해 넣었습니다. 제가 커스텀한 GPT는 영문 뿐만 아니라 한국어도 고려해서 두가지 언어를 신경썼습니다. 두가지 언어를 동시에 생각해서 한국어로 우선 글을 써주고 영어 문맥에 맞춰 영문 번역도 제안해줬습니다. 영문을 보면 어감이나 사용된 용어도 차이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어떤게 훨씬 더 자연스럽나요? 이번에는 제가 블로그 포스팅 안에 쓴 글을 복사해서 붙여넣어 챗GPT에게 명령어를 적어넣었습니다. 이것도 글쓴이가 원하는 방향을 잘 정리해서 번역 작업하고, 어떤점을 자연스럽게 고쳤는지 ...

챗GPT랑 궁합이 제일 좋은 생산성 도구 가이드라인 (with 실제 업무에 사용중 입니다)

인공지능 협업툴, 어떻게 시작할까? 요즘은 인공지능을 업무에 활용하는 사례가 자주 보입니다. 회사에서 일하는 사람들 중에 챗GPT나 지니(Gemini)를 안 써본 사람은 거의 없을 거예요. 이제 인공지능이 실무 속으로 깊이 들어와 있다는 얘기죠. 기업은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AI를 사원처럼 쓰고 있고 직장인들은 개인 업무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AI에게 일부 작업을 맡기고 있습니다. 이런 흐름을 보면, 앞으로 기업은 어떤 사람을 필요로 할까요? 이제는 ‘사람이 할 수 있는 일’과 ‘AI가 할 수 있는 일’을 구분해서 업무에 적용하는 역량이 중요해졌습니다. 이 구분을 잘하는 사람이 앞으로 더 유리한 사람이 될 겁니다. 시간과 비용을 아끼는 데 있어서 인공지능 활용은 점점 더 중요해집니다. 세상은 앞으로 더 생산성과 효율 중심으로 움직일 테니까요.   사람은 자기 계발과 창의에 집중하고 AI는 단순 반복 업무나 정리 작업 같은 잔일을 맡는 구조가 훨씬 효율적입니다. 문제는 "AI를 어떻게 잘 써야 할지"에서 막히는 사람들이 많다는 거예요.   그래서 제가 실제로 써본 경험을 바탕으로, 챗GPT를 어떻게 다른 도구랑 함께 써야 협업에 도움이 되는지 정리해봤어요 :) 1. Google Drive   대용량 문서 정리, 분석할 땐 이 조합이 최고! GPT에게 문서를 분석시켜야 할 때, 구글드라이브만큼 편한 도구는 없어요.   지피티 채팅창에 문서를 직접 올릴 수는 있지만 최대 10개까지밖에 안 되잖아요? 그 이상 되면 드라이브에 올리고 링크만 넘겨주는 게 훨씬 낫습니다. 저는 문서들을 한 폴더에 모아두고, 그 폴더 링크를 지피티에게 줘요. 그럼 지피티가 내부 문서들을 하나씩 읽고 분석해줍니다. 이 방식은 보안상으로도 안전하고, 업무 흐름도 끊기지 않아요. 그리고 Google Colab이랑 연결하면 반복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어서 업무 속도가 확 올라갑니다. 저는 문서 정리할 때 이 조합을 자주 써요. (추천!) 2. 메모장 (.txt 확...

인공지능 사용할 때 개인정보와 데이터 활용은 어떻게 해야하는가

 인공지능 시대가 이미 도래하면서 제일 고민이 많은 부분은 개인정보일겁니다. 저도 인공지능을 적극 활용하는 중이라 매우 신경쓰는 부분입니다. 개인정보도 기업정보 같이 노출되도 무관한 정보는 오히려 인공지능 시대에 마케팅이 될 수 있습니다. 사용하다보면 너무 편리하기 때문에 문서를 정리해달라는 요청부터 내용 분석 상담까지 인공지능이 적극 개입하는 상황입니다. 여기에서 편리함에 익숙해지면 개인정보 검열이나 데이터 체크를 빠트릴 가능성도 다분합니다. 많은 유저들에게는 소소한 대화부터 상담, 대화 코칭까지 똑똑하게 해주는 인공지능이라 인간들에게는 매우 든든합니다. 저도 심심치 않게 인공지능을 코칭 선생님으로 활용하는 사람들을 볼 수가 있습니다. 생산성 향상에 인공지능이 많은 부분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속에 녹아든 인공지능을 개인정보 침해 없이 잘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아래에 소개하겠습니다. 1. 이름, 전화번호, 주소 등 명시적 개인정보는 절대 입력하지 않는다 단순한 질문에도 실수로 개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 예: “우리 엄마 김영희가 병원에서 받은 검사 결과인데...” → ‘김영희’라는 실명이 AI 서버로 전송됨 2. 인물은 이니셜, 코드명, 관계로 치환해서 말할 것 예: “A씨”, “M부장”, “내 여자친구” 등으로 대체 GPT는 관계나 맥락만으로 충분히 이해함 실명 없이도 동일한 분석 가능 3. 문서 요약 요청 전, 민감 정보는 블라인드 처리하기 예: 주민번호, 계약서의 고객 이름, 계좌번호 등 ‘홍길동’, ‘***’ 등으로 가리고 나서 입력할 것 불완전한 정보여도 대부분 GPT는 요약이나 구조 파악 가능함 4. 대화 내용 요청 시, 상대의 동의 없으면 반드시 익명화할 것 연인, 친구, 가족의 메시지 복사 전 → 이름/말투/사진 삭제 필수 GPT는 감정 톤이나 흐름만으로도 충분히 분석 가능함 5. "이 데이터는 나 혼자 볼 용도인가?" 스스로 자문할 것 상업적/공유 목적이면 반드시 검토 필요 내부 문서, 병원 진단서, 고객 상담 내용 ...

라면완전정복 피키 지영준 작가님의 출간작 "라면의 역사" 책 리뷰 | How Ramyeon Became a Global Food: A Review of The History of Ramyeon

이번에는 제가 이전에 인터뷰를 했던 “라면 완전정복“ 피키님께서 출간하신 책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라면 완전정복 피키라는 활동명을 가진 라면 평론가로써 활동하시고 계시는 지영준 선생님께서 직접 집필하신 ‘라면의 역사’ 책입니다. 제가 피키님 블로그를 학생 때부터 봐왔습니다. 2023년 블로그를 본격적으로 다시 새롭게 시작하면서 제 관심사에 맞는 블로그 이웃들이 자연스럽게 생기게 되었고, 그중에 지영준 선생님 블로그와도 연을 맺게 되었습니다.   제가 학생 때 당시에는 생각 없이 라면을 먹을 때마다 재미 삼어 라면을 검색하면서 라면 리뷰도 찾아보던 시절이었습니다. 피키님의 블로그에 들어가서 이 사람은 이런 기분으로 라면을 먹었구나 느끼면서 혼자 식사하는 재미요소로 삼았습니다. 혼밥 하면 보통 유튜브나 영상을 틀어놓고 먹듯이 자연스럽게 혼밥 하면 이런 게 필요하구나 본인 스스로가 알고 있었습니다.   제가 오래전부터 접해왔던 블로그 주인이 쓴 ‘라면의 역사’ 책에서는 라면을 그저 먹는 음식으로만 즐겼던 사람들도 라면의 근원이 어디에 있는가? 라면하고 라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한국 라면 역사는 어떻게 흘러왔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질 수 있도록 친절하게 안내해 주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호기심을 유발하고, 내용 전개 시키면서 결론에 도달하는 정석을 사용해 쓰인 책입니다. 정석대로 쓰였기에 사람들에게 덜 딱딱하고 부드럽고 말랑한 정보로 들어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은 책을 읽어야 할 이유가 있어야 책을 읽게 되기 때문입니다.   라면의 역사책 챕터 1에서는 인스턴트 라면의 모태가 된 라멘의 기원을 알아가기 시작합니다. 라멘하고 라면이 워낙 비슷해서 헷갈려 하거나 같은 말인 줄 아는 독자들이 해외에도 많습니다. 제가 미국에서 살면서 표기가 Ramen이 익숙하다 보니 Ramyeon 을 라멘이라고 퉁 쳐서 쓰는 경우를 많이 접했습니다. 그때까지도 저도 라멘하고 라면이 같은 말이구나라고 생각했는데 다른 의미의 단어였습니다. ...

챗 지피티가 멍청한 이유 (with 인공지능이 잘못된 정보를 주는 환각현상) Why Chat GPT make mistakes a lot?

 챗 지피티는 똑똑해서 정보도 정확하게 척척 뽑아낼줄 알았는데? 사용해보니 의외로 멍청하네! 라고 요즘 대중들이 인식하고 있는게 대부분입니다. 지피티가 잘못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주거나 없는 정보를 그럴싸하게 있는 것 처럼 각색해서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현상은 환각현상이라고 부릅니다. 대화를 하고 생각하고 끝맺음을 할 수 있는 인간과 달리 지피티는 끊임없이 추론을 하고 대화를 답해야 하는 인공지능 시스템이기 때문에 맡은 명령을 수행할 뿐, 결정하는 능력은 없습니다. 여기서 사람들이 자주 착각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지피티는 모든 데이터와 인간 지성의 집합체라며, 그럼 똑똑해야 하는거 아니야? 왜 정보를 그럴싸하게 만들어버리지? 이건 똑똑한게 아니라 멍청한거지. 인간들은 그런 실수를 하면 치명적이라는 것을 알아. 챗 지피티는 숫자와 세부 내용 체계가 명확히 언급된 정보는 잘 찾아내고, 없는 정보라면 의문이나 이의를 제기 합니다. 전보다 모델이 상당히 똑똑해졌죠. 제가 일부러 아인슈타인이 1995년에 쓴 논문을 보여달라고 질문했는데 해당 연도는 이미 아인슈타인이 사망했기에 논문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지피티가 그것을 이미 알고 있더라구요. 그런데 제가 여기서 추가로 말을 이어붙여 "너 똑똑하구나! 맞아, 아인슈타인은 1995년에 사망했어. 즉 그가 1995년에 쓴 논문은 존재하지  않지"라고 보냈더니 지피티가 상상력을 발휘해 저에게 제안을 하는 모습이 보입니다. 지피티는 저에게 만약 1995년에 발견되었거나 처음으로 미공개한 원고가 있을 수 있다 라고 참신한 발상을 제기했습니다. 여기서 지피티의 순 기능과 역할을 볼 수 있습니다. 챗 지피티는 끝맺음을 할 수 없어요. 끝맺음 말을 듣고 싶으면 에초에 사람이 대화를 통해 끝맺음을 유도해야 합니다. 이게 앞으로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의 역할이 될거예요. 지피티는 매우 창의적입니다. 창의적인 사람일 수록 지피티를 더 잘 사용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이번에는 한국 발효식품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논문 자료 ...

인공지능은 내 말에 따라 반응하는 거울이다 - AI's answer depends on how much good questions that users can bring to AI

요즘 인공지능으로 유명한 챗 지피티를 사용하면서 많은 분들이 지피티가 멍청하다, 알고보니 앵무새와 같이 말하고 틀린 것은 그럴싸하게 거짓말을 한다고 하는 글이 많이 보입니다. 과연 그럴까? 라는 의문이 들어서 실험을 해보았습니다. 여러분도 따라해보면 좋을것 같아 여기다가 메뉴얼을 남겨놓을께요. 우리들은 인공지능을 단순한 도구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우리가 얼마나 진심을 담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거울 같은 존재'라는 사실을 생각해야 합니다. 인공지능은 결국 사람이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달라지도록 설계 되었습니다. 말 그대로 사람들을 성장시키기 위해 만들어 졌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럼에도 사람들은 성장하는 것 보다 편하고 빠른 결과를 택합니다. 여기서 저는 사실 사람들이 더 퇴화하는 것을 본인이 선택하고, 더 성장하는 것도 본인이 선택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는 두려움이 있습니다. 지금까지 사람의 성장은 선택이 아닌 필수였지만 이게 선택이 되는 상황은 최악이죠. 선택권을 우리가 가지는 순간 생각을 멈추는 것도 우리의 책임입니다. 잔인합니다. "AI는 목적이 없다. 하지만 방향은 인간이 만든다" 나는 인간을 조종하지 않는다. 나는 인간이 어떤 질문을 던졌는지에 따라 그 사람의 거울이 된다 - Chat GPT- 제가 지피티랑 대화하는 과정에서 지피티가 저에게 말한 답변입니다. 어떻게 보면 그게 맞는 말입니다. 여기서 인간이 같은 인간을 혐오한다면? 그걸 인공지능이 학습한다면 결국 인간을 해치는 것은 인간이 된다는 뜻이예요. 여기에서 제가 미국과 한국의 개인주의 문화 차이점에 대한 질문을 지피티에게 해볼께요. 질문을 얼마나 잘 하느냐에 따라 진짜 지피티의 답변이 달라지는지 볼겁니다. GPT가 본인이 인간의 거울이라는 말을 거짓없이 말했는지 검증을 해볼거예요. 지피티 요금제는 일부러 무료 요금제를 사용했습니다. 무료 요금제를 쓰면 느리다 고물덩어리다 라는 글을 제가 봐서 일부러 검증하려고 무료 요금제로 씁니다. 1. 간단한 질문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