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완전정복 피키 지영준 작가님의 출간작 "라면의 역사" 책 리뷰 | How Ramyeon Became a Global Food: A Review of The History of Ramyeon
제가 피키님 블로그를 학생 때부터 봐왔습니다. 2023년 블로그를 본격적으로 다시 새롭게 시작하면서 제 관심사에 맞는 블로그 이웃들이 자연스럽게 생기게 되었고, 그중에 지영준 선생님 블로그와도 연을 맺게 되었습니다.
제가 학생 때 당시에는 생각 없이 라면을 먹을 때마다 재미 삼어 라면을 검색하면서 라면 리뷰도 찾아보던 시절이었습니다. 피키님의 블로그에 들어가서 이 사람은 이런 기분으로 라면을 먹었구나 느끼면서 혼자 식사하는 재미요소로 삼았습니다.
혼밥 하면 보통 유튜브나 영상을 틀어놓고 먹듯이 자연스럽게 혼밥 하면 이런 게 필요하구나 본인 스스로가 알고 있었습니다.
제가 오래전부터 접해왔던 블로그 주인이 쓴 ‘라면의 역사’ 책에서는 라면을 그저 먹는 음식으로만 즐겼던 사람들도 라면의 근원이 어디에 있는가? 라면하고 라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한국 라면 역사는 어떻게 흘러왔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질 수 있도록 친절하게 안내해 주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호기심을 유발하고, 내용 전개 시키면서 결론에 도달하는 정석을 사용해 쓰인 책입니다. 정석대로 쓰였기에 사람들에게 덜 딱딱하고 부드럽고 말랑한 정보로 들어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람들은 책을 읽어야 할 이유가 있어야 책을 읽게 되기 때문입니다.
라면의 역사책 챕터 1에서는 인스턴트 라면의 모태가 된 라멘의 기원을 알아가기 시작합니다. 라멘하고 라면이 워낙 비슷해서 헷갈려 하거나 같은 말인 줄 아는 독자들이 해외에도 많습니다. 제가 미국에서 살면서 표기가 Ramen이 익숙하다 보니 Ramyeon 을 라멘이라고 퉁 쳐서 쓰는 경우를 많이 접했습니다. 그때까지도 저도 라멘하고 라면이 같은 말이구나라고 생각했는데 다른 의미의 단어였습니다.
라멘의 유래를 알아가면서 어디에서 라멘이라는 음식이 시작되는지 독자들이 사전 배경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지식이 생기면 자연스럽게 왜 한국에 인스턴트 라면이 들어왔을까? 한국 전쟁 당시 어떻게 자원이 부족했던 척박한 환경 속 인스턴트 라면이 들어올 수 있었을까? 의문이 생기게 됩니다. 이 책은 작은 질문 하나하나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나가고 있습니다.
이후 한국에서 시작된 라면 역사의 흐름을 책 페이지를 넘기면서 따라가게 됩니다. 타임라인 보듯 라면 역사를 자연스럽게 알아갈 수 있는 매력이 책에 담겨 있습니다. 제가 학교에서 역사책을 읽었을 때 특별한 흥미가 없는 한 학습하기 어려운 과목이었는데요. 라면의 역사책은 그 어떤 역사책보다 머리에 쏙쏙 잘 들어옵니다. 라면을 후루룩 맛있게 먹듯이 한국 라면 역사도 재미있게 접할 수 있어 호평을 남기고 싶습니다. 지영준 선생님께서 한국 라면 기업 역사들도 책 안에 기록하셨는데, 그 많은 자료들을 일일이 연도별로 보유하시고 계신 모습에 감탄하게 됩니다. 라면에 진심이신 게 눈에 보입니다.
이토록 무언가에 열정적이고 진심인 사람은 잘 안되는 것을 볼 수 없습니다. 저도 그런 분들은 항상 잘 되시는 모습을 봐왔습니다. 라면의 역사에 대한 책이 한국 근대역사의 귀중한 축 중 하나가 될 수 있는 한국 라면 역사에 큰 기여를 하고 나아가 선순환이 될 수 있는 초석이 되면 좋겠습니다.
책은 단순히 라면 역사를 알아가는 것에 끝나지 않고, 다양한 해외 라면들을 잠시나마 들여다보고, 지영준 선생님 같은 다른 라면 평론가의 활동을 기록하고, 라면 관련해 도전하고 창업하신 다른 분들의 이야기도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라면과 관련해 사회에 도움을 주는 봉사활동도 소개하고, 라면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들어올 수 있는 문화적인 공간도 소개합니다. 라면을 알아가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닌, 책을 덮고 나서도 이어나갈 수 있는 활동이나 관심사를 열어주는 안내서라는 생각이 듭니다.
제가 책을 읽었지만 단순히 책을 읽음으로 마치 라면 완전정복 피키님과 1 대 1로 대화하는 기분이 들었습니다. 귀한 책을 리뷰하게 되어 기쁩니다.
라면을 좋아하시고 평소에 라면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호기심이 있으신 분들은 이 책을 읽어보시면 분명 즐거운 시간을 만끽하실 겁니다 :)
이 책을 통해 사람들이 세상에 관심을 가지고 왜?라는 질문을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질문이 사라진 각박한 세상 속에서 한 사람 개개인이 던지는 질문은 상황을 바꿀 수 있는 큰 힘이 들어있습니다. 의문을 가질수록 그 대상의 본질을 바라보게 됩니다.
좋은 질문을 끌어내는 리뷰, 다음 리뷰도 기대해 주세요.
I’d like to introduce a new book by someone I previously interviewed—Piki, also known as the “Complete Conqueror of Instant Noodles.” The History of Ramyeon is written by Young-jun Ji, an instant noodle critic who has been active under the name “Piki” for years.
I’ve been following Ji’s blog since I was in high school. When I restarted my own blog in 2023, I naturally connected with bloggers who shared my interests, and Ji was one of them.
Back then, whenever I had a bowl of ramyeon, I’d look up reviews just for fun. Reading his posts became part of my solo meals. It was comforting to see how someone else experienced the same noodles—it added a quiet sense of connection, like watching a video while eating alone.
Just like how people often watch YouTube while eating alone, I realized that having something to engage with during solo meals had become second nature to me.
So when I picked up The History of Ramyeon, written by someone whose blog I had followed for years, it felt natural. The book gently invites readers—especially those who’ve only thought of ramyeon as just another food—to ask deeper questions: Where did ramyeon come from? How is it different from Japanese ramen? And how has Korea’s ramyeon industry evolved over time?
The book follows a classic structure: it sparks curiosity, unfolds its narrative step by step, and leads the reader to thoughtful conclusions. That approach makes the content feel approachable—never rigid or heavy, but instead soft and accessible. After all, people need a reason to keep turning the pages of a book.
Chapter One of The History of Ramyeon explores the origins of Japanese ramen—the dish that inspired instant ramyeon. Because the words “ramen” and “ramyeon” look and sound so similar, many readers, especially outside of Korea, tend to assume they mean the same thing.
I encountered this confusion myself while living in the United States. Since the word “ramen” is so common in English, I often saw Korean ramyeon casually lumped together under the same name. For a long time, I believed they were the same too—until I realized they carry very different meanings.
The book explains how ramen began and lays the groundwork for understanding its roots. From there, it naturally raises new questions: Why did instant noodles come to Korea? How did they gain a foothold during the Korean War, when resources were limited?
Each question is answered simply and clearly. The explanations are easy to follow, making history feel surprisingly engaging.
The book then moves into the history of ramyeon in Korea. As you turn the pages, you follow its timeline—how it started, how it spread, and how it evolved. That structure makes the history feel natural and easy to absorb.
I used to find history textbooks hard to get into unless I had a strong reason. But this one is different. The History of Ramyeon is one of the most digestible and engaging history books I’ve read. Just like slurping a warm bowl of noodles, the story of Korean ramyeon goes down smoothly.
In the book, Young-jun Ji also documents the history of Korean instant noodle companies. He has gathered and organized a wide range of materials, sorted year by year. I was genuinely impressed by how thoroughly he has archived this information. His dedication to ramyeon is unmistakable.
I believe that when someone pours this much passion and sincerity into something, success naturally follows. That’s been my experience with people like him.
I truly hope that this book—by documenting the history of Korean ramyeon—will one day become a meaningful part of Korea’s modern cultural record. It has the potential to spark new conversations and lay the groundwork for even more thoughtful work in the future.
The book doesn’t stop at introducing the history of ramyeon. It briefly explores different instant noodles from around the world, highlights the work of other critics like Young-jun Ji, and introduces the stories of people who’ve taken on new challenges or even started businesses related to ramyeon.
The book also introduces volunteer projects and cultural spaces related to ramyeon—most of which are based in South Korea. It’s a glimpse into how ramyeon can inspire community activity and social contribution within the country.
It doesn’t just end with learning about noodles—it opens the door to future interests and activities. It feels less like a one-time read and more like a guidebook that points readers toward what they might explore next, especially if they’re in or visiting Korea.
Reading this book felt less like going through pages and more like having a one-on-one conversation with Young-jun Ji himself. I’m truly glad I had the chance to review such a thoughtful and well-crafted work.
✍️ This post was written in collaboration with AI (ChatGPT) and further refined by the author. Human feedback and editorial direction were actively applied.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