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똑똑한 번역 업무 특화] 커스텀 챗GPT 프롬프트 공개

 안녕하세요. 큐시커입니다. 제가 인터뷰 한 내용들을 알차게 즐기고 계시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총 4명의 인물 인터뷰 글을 작성했습니다. 블로그를 시작한지 2개월 정도 되었는데 이정도면 꽤 좋은 출발인것 같아요 :) 인터뷰 질문 응답을 변역하는 과정에서 제가 챗 GPT를 활용하고 계시는 점, 모두들 아시리라 믿습니다. 제가 공부를 하면서 영어 논문을 작성할 때 마다 저랑 함께 작문 피드백을 해주고 수정해주시는 전문가와 함께 했었습니다. 영어를 잘 못했던 유학생 시절에 대학교에서 제공해주는 서비스가 저에게 큰 도움이 되었기에 챗 지피티가 이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여 접근한 방법입니다. 챗 지피티가 저랑 함께 번역 작업을 하는 파트너가 되주고 있고, 저도 인터뷰를 지금까지 4건 작업하면서 얻은 작업방식과 데이터를 프롬프트로 저장해 커스텀GPT를 꾸준히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보시는 것 처럼 제가 만든 번역용 커스텀 GPT입니다. 대화하듯 언어를 기반으로 사용하는 IIL 인공지능이 앞으로 가능성이 많을거라 생각되어 오픈AI 사의 챗 GPT를 번역용 인공지능으로 선택했습니다. 제가 만든 커스텀 GPT가 기본형 GPT랑 어떤 점이 다른지 비교해보겠습니다. 블로그의 목적과 함께 내가 지피티에게 요청하는 것, 의도, 원하는 점을 설명해줬더니 곧바로 영문으로 작성해줬습니다. 영작에 집중해서 보시죠! 이제, 제가 만든 커스텀 GPT 에도 똑같은 질문을 복사 붙여넣기 해 넣었습니다. 제가 커스텀한 GPT는 영문 뿐만 아니라 한국어도 고려해서 두가지 언어를 신경썼습니다. 두가지 언어를 동시에 생각해서 한국어로 우선 글을 써주고 영어 문맥에 맞춰 영문 번역도 제안해줬습니다. 영문을 보면 어감이나 사용된 용어도 차이점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어떤게 훨씬 더 자연스럽나요? 이번에는 제가 블로그 포스팅 안에 쓴 글을 복사해서 붙여넣어 챗GPT에게 명령어를 적어넣었습니다. 이것도 글쓴이가 원하는 방향을 잘 정리해서 번역 작업하고, 어떤점을 자연스럽게 고쳤는지 ...

INTERVIEW MYSELF - 일상생활 굿즈는 하이데버 명형인 대표 셀프 질문응답 (Designing Merch business, HIDEABER)


 나는 누구인가?

안녕하세요, 저는 명형인입니다. 자연과 과학, 환경을 사랑하는 연구자이며, 현재는 관찰, 비판적 사고, 분석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일러스트를 좋아하지만, 지금은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실험해보기 위해 하이데버라는 개인 브랜드를 운영하며 일상 굿즈(merch) 만들고 있습니다. 하이데버는 인사말 ‘Hi’ 데프를 결합한 브랜드로, 저에게 실험실이자 정체성이 되는 공간입니다.


언제 시작했나요?

하이데버의 아이디어는 코로나19 발생 6개월 전에 시작되었습니다. 공식적으로 출발할 때는 이미 팬데믹이 진행 중이었고, 많은 고민과 두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멈추지 않고 도전하며 단단한 기반을 쌓아왔습니다.

올해는 하이데버의 리빌딩을 진행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팬데믹 속에서도 브랜드를 시작한 것은 후회 없는 선택이었습니다. 하이데버는 트렌드를 연구하는 브랜드로, 유행을 무작정 따르지도 않고, 변화에 지나치게 저항하지도 않습니다. 빠르게 변하는 시대 속에서 새로운 가치를 받아들이면서도, 사라져가는 중요한 가치들은 지켜가고 싶습니다.


어디에서 운영하나요?

저는 하이데버를 대한민국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글로벌 확장은 현재 기획 중입니다. 현재 매출의 90% 네이버 스마트스토어를 통한 온라인 판매이며, 10% 공간에서 파충류를 직접 관찰하러 방문객들이 구매하는 방식입니다.

2024 2월에는 와디즈(Wadiz) 펀딩 플랫폼에도 입점하며 새로운 성장 기회를 열었습니다. 현재로서는 대한민국 시장이 핵심 무대입니다.


이야기를 어디에서 있나요?

저를 깊이 알고 싶다면, 발짝 물러서서 지켜봐 주세요.

네이버 블로그에서는 에너지와 돈을 똑똑하게 절약할 있는 라이프스타일 팁을 공유합니다. 저는 이를실용적 지혜(practical wisdom)’라고 부릅니다. 값싼 것이 아니라, 최대의 가치를 실현하는 선택을 의미합니다. 블로그에서는 제가 키우는 귀여운 동물들 이야기도 있습니다.

또한, 구글 블로그는 공식적이고 글로벌한 공간으로, 한글과 영어를 함께 사용하며 영어 실력도 키우는 플랫폼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하이데버는 어떤 브랜드인가요?

하이데버는 일상의 굿즈(merch) 통해 가지 가치를 전달합니다.

  • 손을 움직이며 느끼는 즐거움
  • 새로운 경험을 통해 얻는 재미
  • 발견하는 과정에서 오는 설렘

저는 이를 “3Fun” 개념이라고 부릅니다.

영어에서 ‘fun’(F) 즐거움을, ‘pun’(P) 언어유희와 재치를 의미합니다. 하이데버는 가지 요소를 모두 아우르며, 순수한 재미를 추구하는 브랜드입니다.



어떤 굿즈를 만들고 있나요?

현재 하이데버는 가지 주요 제품 라인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한국 수어(Korean Sign Language) 관련 굿즈
  • 파충류 케어 필수품

하이데버의 굿즈는 일상 속에서 자신의 취향을 반영할 있는 도구입니다. 브랜드를 좋아하는 고객들은 꾸준히 찾아오며, 하이데버의 충성 고객들은 개성이 뚜렷한 취향을 가진 분들입니다.


하이데버는 어떻게 운영되나요?

저는 하이데버의 브랜드 방향성을 계속 다듬고 있습니다. ‘일상 굿즈(merch)’라는 넓은 개념을 분석하며, 끊임없이 질문을 던지며 새로운 방향을 찾고 있습니다. 현재, 단단한 기반을 구축하는 과정에 있습니다.


어떤 방향으로 가고 있나요?

하이데버의 주요 목표 하나는 폐기물을 줄이는 제품을 만드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패키징 디자인, 소재 연구, 설계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기술적 역량과 지적 재산권 보호를 최우선으로 두고 있습니다.

또한, B2B 전략을 활용해 기업 협업을 통해 효율적으로 인력을 활용하며 시장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와디즈(Wadiz)에서 115% 펀딩 목표를 달성하며, 새로운 도전에 걸음 나아갔습니다.

B2C 전략에서는 스마트 스토어와 블로그를 통해 고객과 직접 소통하며 실질적인 피드백을 수집하고 있습니다. 고객의 행동을 면밀히 분석하며, 사람들이 원하는 것과 소비 트렌드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배움을 촉진하고, 사회적 변화를 이끄는 굿즈라는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저는 경제 동향, 국제 이슈, 다양한 지식원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현재, 하이데버는 단단한 기초를 다지는 단계에 있으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하이데버인가요?

저는 퇴사 , 나만의 브랜드가 필요하다는 절실함으로 인해 하이데버를 창립했습니다. 회사에서는 안정적인 울타리가 있는 것처럼 느껴졌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세상에 홀로 선다는 것은 방식대로 살아간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저는 스스로를 직면하고, 단순한 직원이 아니라 나만의 정체성을 구축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셀프 브랜딩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는 도구를 만들기로 결정했습니다.


브랜드 이름과 굿즈를 선택한 이유는?

하이데버는 “Hi”데프 조합으로, “안녕, 나는 청각장애인입니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저는 굿즈(merch) 기술과 전문성을 가장 살릴 있는 분야라고 판단했습니다.

가장 현명한 출발점은 자신이 가장 잘하는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라고 믿습니다. 저에게 굿즈는 브랜드를 쌓아가는 기반이며, 창조적인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도구입니다.


올해의 테마: “물성 매력(Material Appeal)”

디지털과 가상 경험이 지배하는 시대에도, 인간은 여전히 실체적인 물건에 끌립니다. 우리는 직접 만지고, 느끼고, 상호작용하는 경험을 원합니다.

디지털이 아무리 편리해도, 손끝에서 느껴지는 물리적인 경험이 주는 즐거움은 결코 대체될 없습니다.





Who?

Hello, I am Clara Hyungihn Myung, a researcher passionate about nature, science, and the environment. While I enjoy illustration, my current focus is on observation, critical thinking, and analysis. To bring my ideas to life, I run a personal business creating everyday merch. My business, HIDEABER, combines a greeting with the word ‘deaf’ and serves as both my experimental lab and identity.


When?

I conceived HIDEABER six months before the COVID-19 outbreak. By the time I officially launched, the pandemic had already begun in Korea, making the start challenging. Despite my fears, I pushed forward and built a solid foundation.

This year marks a period of restructuring for HIDEABER. Looking back, I have no regrets about starting during the pandemic. Positioned as a trend research brand, HIDEABER remains neutral—neither rushing to embrace fleeting fads nor resisting change with outdated skepticism. The brand operates in a parallel universe, balancing the rise of new cultural shifts with the preservation of time-honored values.




Where?

I run HIDEABER in South Korea, with global expansion still in the planning stages. Currently, 90% of sales are online, primarily through Naver’s store platform, while 10% come from in-person purchases by visitors drawn to observing my reptiles up close.

In February, HIDEABER joined the venture funding platform Wadiz, marking another step in its growth. For now, South Korea remains the primary market.


Where Do I Share My Insights?

To get a deeper perspective on my work, step back and observe.

On my Naver blog, I share lifestyle hacks that help people save energy and money wisely. I call this evolving knowledge ‘practical wisdom’—not about being cheap, but about making smart choices that bring real value. You’ll also find posts about my adorable, harmless animals.

My Google blog is more global and formal, with bilingual (Korean-English) posts aimed at improving my English.




What?

HIDEABER creates everyday merch based on three key values:

  • The joy of using one’s hands
  • The fun of experiencing new things
  • The excitement of discovery


I call this the “3Fun” concept.

The word ‘fun’ (F) in English means enjoyment, while ‘pun’ (P) refers to wordplay and witty expressions. 하이데버 embraces both—pure fun in all its forms.


What Kind of Merch?

Currently, HIDEABER focuses on two main product lines: Korean Sign Language and reptile care essentials.

Customers use HIDEABER merch to personalize their daily lives, and those who love the brand often return. HIDEABER’s loyal customers have distinctive tastes and strong individuality.


How?

I am still shaping HIDEABER's branding and core vision. By analyzing the broad concept of ‘everyday merch,’ I continuously refine and expand my focus through detailed questioning. Right now, I am solidifying my direction.


How Do I Find Direction?

One of HIDEABER’s key goals is to reduce waste. I focus on packaging design, material research, and blueprint development, but before anything else, securing technical expertise and intellectual property is my top priority.

HIDEABER employs a B2B strategy, collaborating with other businesses to optimize resources and expand market reach. Recently, HIDEABER achieved 115% of the funding goal on Wadiz and launched my store on the platform.

With the B2C strategy, direct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via Smart Store and blogs helps me collect real feedback. Observing consumer behavior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what people want and how they spend.

To achieve my vision of “merch that drives learning and social movements,” I continuously analyze economic trends, international affairs, and a wide range of knowledge sources.

Right now, HIDEABER is in its foundational stage, laying the groundwork for growth.


Why?

I created HIDEABER after leaving my workplace. While working at the company, I felt like I had a safety net, but in reality, it wasn’t a secure space.

Stepping into the world as an individual meant truly living in my own way. I had to face myself and embrace my identity beyond just being an employee. I chose self-branding as a tool for personal expression.




Why the Name HIDEABER? Why Merch?

As mentioned earlier, HIDEABER combines “Hi” and “Deaf”, meaning “Hello, I am Deaf.”

The main reason I chose to focus on merch is that my skills and expertise are a perfect fit for this industry.

I believe the smartest way to start is by leveraging what you do best. For me, merch is the foundation—the material I use to build my brand. Merch is also flexible, adaptable, and full of creative possibilities.

I love experimenting, breaking things down, and rebuilding them. For someone like me, merch offers endless opportunities.



2025’s Theme: “Material Appeal”

Despite living in a world dominated by digital and virtual experiences, humans are still drawn to tangible, physical objects. We want to touch, feel, and interact with real things.

Even in an era of digital convenience, the joy of physical experience remains irreplaceable.


[제가 직접 원문을 작성했고 챗 GPT와 함께 글 편집 작업 했습니다]

[Writen text by Clara M, revised with Chat GPT]

댓글

HOT News

Areumdamda Inc. | Interview with CEO Jung-hoon Bae 가상현실과 삶을 이어주는 미디어 랩- 아름담다를 알다

  아름담다 대표님은 어떤 사람입니까? 안녕하세요. 아름담다 대표 배정훈 입니다. 저는 가끔 스스로를 청개구리 같은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 모든 사람들이 가는 길이 있다면 , 일부러 다른 길을 개척하는 불편함을 자초하는 사람 같습니다 . 물론 그런 길이 대부분 성공적이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요 . 그렇다고 겁이 없는 사람은 아니고 , 오히려 보통 사람보다 더 겁이 많은 편인데 ,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는 저도 미스터리입니다 . 다만 , 그 길에서 얻는 성취가 작더라도 험한 길을 계속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되어주는 것 같습니다 . 언제부터 아름담다를 창업하기로 결정했나요 ? 아름담다의  스토리가 궁금해요 .   저는 평생 저에게 맞는 일은 창의적인 생산이라고 생각해왔습니다 . 그게 어떤 분야가 되든지요 — 글이든 , 이미지든 , 음악이든 . 창의적인 일이라면 다양하게 해보고 싶은 욕심도 많았습니다 . 물론 그런 것들이 단지 순수하고 추상적인 개인적 욕구라면 , 현실적으로 제가 잘할 수 있는 일은 현업 안에서 찾아야겠지요 . 전공이었던 도시건축 관련 일과 , 오랜 시간 몸담았던 게임회사에서의 경험은 분명 행복했지만 , 결국 조직 안에서 제가 맡을 수 있는 일은 아주 작은 일부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 그래서 프로젝트 선정부터 총괄까지 , 더 창의적인 도전을 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 회사에 다니며 틈틈이 준비를 해왔지만 , 그 기간이 꽤 늘어지기도 했습니다 . 아무래도 몸담은 회사를 나와 돈 한 푼 없이 새로운 일을 시작한다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었으니까요 . 하지만 한편으로는 , 일단 시작하지 않으면 그동안의 모든 준비가 무용지물이 될까 봐 두렵기도 했기에 , 결국 시...

Interview with Instant Noodle Specialist Piki - 한국 라면 평론가 "라면완전정복 피키"님의 콘텐츠를 만나다

  라면완전정복 피키님은 누구입니까? 안녕하세요. 저는 라면 평론가, 크리에이터로 활동 중인 라면정복자피키 지영준입니다. 업체의 협찬 없이 2013년부터 2000여종 이상의 라면을 맛보고 블로그와 유튜브를 통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2023년부터는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전업 평론가, 크리에이터로서 라면 콘텐츠 제작을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단순히 라면을 맛보고 소개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고, 라면의 역사를 정리하고, 라면과 관련한 명소, 단체, 인물을 취재해 알려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P.S. 라면 완전정복은 “ 세상의 모든 라면을 먹어보고 소개해보자 ” 는 제 목표이자 , 블로그의 제목입니다 . 제 닉네임은 “ 라면정복자피키 ” 입니다 . 또한 인터뷰에서 제가 말씀드리는 라면의 정의는 일본식 라멘이 아니라 인스턴트 라면 (Instant ramen) 을 지칭한다는 점을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언제부터 “라면을 전세계에 알리고 싶다”라는 꿈을 키우기 시작했나요? 라면에 관련해 언제부터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했는지 궁금합니다.  2012년 군생활 당시 인생을 재밌게 해줄 취미를 찾다가 발견한 것이 라면이었습니다. 군대를 전역하기 전에 군대 매점에 파는 모든 라면을 먹어보자는 소박한 꿈을 세웠는데, 그 소박한 목표는 저를 매우 즐겁게 만들었고, 그런 긍정적 경험 속에서 라면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졌습니다.   그리고 라면에 관심이 생겨, 검색해보니 한국은 세계에서 인스턴트 라면을 가장 많이 먹는 나라임에도 불구하고, 라면을 전문적으로 소개해주는 사람이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됬습니다. 동시에 미국에서 ‘한스 리네쉬’라는 사람이 라면 블로거로서 활동하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죠. 그리고 세계에서 가장 라면을 즐겨먹는 한국에 한스 리네쉬 같은 사람이 없다는 것이 매우 아쉬웠습니다. 제가 그런 역할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고 ‘세상의 모든 라면을 먹어보고 소개해보자’는 꿈...

인공지능이 검색엔진을 대신 할 수 있을까? (with 한국/미국 검색엔진의 AI 활용사례)

요즘 들어 인공지능이 검색엔진을 대체할 것이라는 뉴스를 자주 보게 됩니다. 예전에는 사람들이 궁금한 것을 찾을 때 네이버나 구글 같은 검색엔진을 사용했지만 이제는 그 빈도가 줄어들고 GPT나 제미나이 같은 인공지능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저는 한국어 자료를 찾을 때는 네이버 영어 자료를 찾을 때는 구글을 사용하고 근거 있는 자료를 빠르게 뽑아낼 때는 지피티를 사용합니다. 상황에 따라 도구를 다르게 쓰다 보니 검색엔진과 인공지능의 차이가 점점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과연 인공지능이 검색엔진을 완전히 대체할 수 있을까?  이 질문은 지금 우리 모두에게 꼭 필요한 질문입니다. 예전에는 사람들이 검색엔진을 통해 스스로 정보를 찾고 선별했다면 이제는 인공지능이 알아서 정보를 찾아주고 우리는 그저 받기만 하는 시대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스스로 선택해서 정보를 찾는 것과 주어지는 정보를 그대로 받는 것은 완전히 다른 일입니다. 정보의 선택권이 앞으로 우리가 고민해야 할 중요한 과제가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실제로 ‘슈링크플레이션’을 네이버와 구글에서 각각 검색해봤습니다. 네이버는 국내 최대 검색엔진이고 구글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검색엔진입니다. 두 플랫폼 모두 인공지능 기능을 도입했지만 그 방향은 서로 다릅니다.  네이버에서 ‘슈링크플레이션’을 검색하면 가장 먼저 출처 링크가 이미지 썸네일 형태로 나열됩니다. 제목은 흰색 글씨로 되어 있어 눈에 잘 들어오지 않지만 이미지를 중심으로 시각적인 몰입을 유도하는 구조입니다. 그 아래에는 용어의 정의와 유래 원인 실행 방식 등 하위 항목이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특히 흥미로운 점은 정부 소비자 기업의 입장 등 관계 중심의 서술이 많다는 것입니다. 한국형 인공지능이 사회적 맥락과 이해관계를 강조하는 특징이 잘 드러납니다. 반면 구글은 창을 두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어 정보를 보여줍니다. 왼쪽에는 요약과 설명이 오른쪽에는 출처와 뉴스 링크가 위치합니다. 사용자가 요약부터 볼지...

WITH is for We Image Together Happy | 예술가들의 든든한 파트너, 문화예술 네트워크 위드 조용현 대표님과 나누다

 ◆ Who? 안녕하세요, 저는 예술가들이 혼자가 아닌 ‘함께’ 창작할 수 있도록 돕는 문화예술네트워크 위드의 대표 조용현입니다.   기획자이자 목공예 브랜드 ‘우드베네’의 운영자이기도 한데요,   저는 예술가들이 생존이 아닌 ‘성장’을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삶을 살고 있습니다.   “예술로 어떻게 먹고살 수 있을까?” 이 질문이 늘 제 고민의 중심이에요.   그래서 하루하루, 예술인의 수익 구조를 설계하고, 필요한 정보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저의 취미는 목공입니다. 저는 나무를 만지는 일을 좋아해요.   그래서 '우드베네'라는 작은 공방을 운영하고 있으며,   특히 NFC나 QR 같은 기술을 예술적 디자인과 결합해 이야기를 담는 생활형 목공예품을 만들고 있어요.   예술작품이자 실용품이고, 동시에 문화콘텐츠가 되는 작업을 추구합니다. --- ◆ When? 현장에서 많은 예술가들이 정보를 몰라서 기회를 놓치고,   혼자 준비하다 지쳐서 창작을 포기하는 모습을 봤어요.   그걸 지켜보다가 “이 문제는 누군가 풀어야 한다면 내가 먼저 움직이자”는 생각이 들었고,   그래서 예술가들을 위한 실질적 정보 제공과 기획 행정의 플랫폼으로 '위드'를 만들게 됐습니다. --- ◆ Where? ‘위드’는 예술가의 ‘비즈니스 파트너’이자 ‘정보 길잡이’입니다.   공공 지원사업이나 일자리 정보, 기획서 작성, 매출 구조 만들기까지   예술가들이 어려워하는 실무를 함께 도와주고 있어요.   향후에는 AI와 결합해 더 많은 예술가들이 정보 격차 없이 활동할 수 있도록 확장할 계획입니다. --- ◆ What? 지금 예술가들은 단순한 전시나 공연 기회보다,   지속가능한 수익 구조...